느슨함의 효율.

적당히 조이고, 적당히 풀어두자. 한 번뿐인 인생을 위해.
Scribbles
2017년 4월 2일

1 분

일반적인 의미의 완벽주의자들은 대체로 빈번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꼼꼼함’이라는 무기를 가지고 어디서나 인정받고 칭찬받을 수 있지만, 그 꼼꼼함이 되려 자신을 긁어 파내는 원인이 된다. 자신이 맡은 일 뿐만 아니라 전혀 상관없는 그 이외의 것들에도 꼼꼼함을 적용시키는 것이다.

물론 적당한 꼼꼼함은 삶에서 적당한 자극을 주며 활력을 가져다 줄 수도 있다. 하지만 문제는 그 꼼꼼함이 고착화되었을 때 심각한 병적 증세를 가져다 준다. 병적인 걱정은 대부분 애매모호한 상황에서 발생되는데, 자신이 처한 상황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전혀 판단 할 수 없을 때 부정적 상황으로 해석하려한다는 것이다. 실제로는 전혀 위험하지 않은 일상적 상황인데도 말이다. 이러한 ‘주의 편중’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결국 완벽주의적 접근 방식이 일상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스스로 비효율적 삶을 살게 된다.

어차피 ‘완벽함’은 실체가 없다. 철저히 주관적 견해에 따라 달라진다. 개개인 마다 다른 잣대를 둠으로서 결코 같은 완벽함의 기준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다. 보이지도 않는 ‘완벽함’을 달성하려 애쓸 바에 자신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강점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조금 더 효율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이 아닐까.

자동차를 구매할 때에도 연비를 따지는데(쁘띠거니 같은 분들은 제외하기로 하자.) 우리 삶에는 왜 연비를 따지지 않는지. 더 긍정적으로, 더 객관적으로, 더 거시적으로, 그리고 더 느슨하게 판단하는 연습이 필요하다.